지난 시간에는 대화 중 정보 처리의 원리 중
1. 정보 희소성과 비대칭의 원리
2. 모순 시 비언어 우선의 원리
를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3, 4원리를 알아봅시다.
3. 정보 통일성, 응집성, 일관성의 원리
인간이 받아들일 수 있는 정보는 한정되어 있고, 그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는 통로도 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인간은 효율을 중시하기 위해 대화의 내용에 통일성이 있고, 응집성이 있고, 일관성이 있는 것을 좋아합니다.
3-1. 통일성
통일성이란, 모든 문장의 내용이 주제와 얼마나 관련되어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인간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얻고 싶어하는 습성이 있으며, 따라서 상황을 파악하고 이해하기 쉽게 맥락에 맞는 말을 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학생1: 어제 여행 가서 뭐 먹었어?
학생2: 식당 메뉴들이 전부 다 맛있었어.
학생1: ...?
이 경우 학생 2는 먹은 음식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는 있지만, 학생1이 질문한 '무엇을 먹었는가'에 대한 답변을 주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위 대화는 맥락에 맞지 않는 말입니다.
학생1: 어제 여행 가서 뭐 먹었어?
학생2: 아침에는 빵 먹고, 점심에는 파스타 먹고, 저녁에는 고기 먹었어.
학생1: 파스타? 맛있겠다. 무슨 파스타?
학생2: 크림 파스타.
학생3: 고기를 구울 때 육즙을 잘 가두는게 중요하대.
학생2: 느끼함을 레몬즙으로 잘 잡아냈더라.
위 대화에서 학생 3은 맥락에 맞지 않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학생3의 말은 부적절합니다.
3-2. 응집성
응집성이란, 모든 문장의 형식이 문법적으로 얼마나 자연스러운가를 의미합니다. 인간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받아들이고 싶어하는 특성이 있으며, 따라서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학생1: 어제 여행 가서 뭐 먹었어?
학생2: 아침에는 빵 먹기 전에, 점심에는 파스타 먹었어도, 저녁에는 고기 먹었기 때문이야.
학생1: ...?
학생2의 대사는 한 눈에 봐도 문법적으로 이상합니다. 접속사가 이상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접속사를 상황에 맞지 않게 쓸 경우 대화의 응집성에 해가 갑니다. 이를 접속표현이라고도 합니다.
학생1: 어제 여행 가서 뭐 먹었어?
학생2: 아침에는 빵 먹고, 점심에는 파스타 먹고, 저녁에는 고기 먹었어.
학생1: 거기서 누가 제일 맛있었어?
학생2: ...?
학생1의 발화에서 '누구'는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음식을 가리킬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문장도 문법적으로 옳지 않은 문장입니다. 이를 대용표현이라고도 합니다.
학생1: 어제 여행 가서 뭐 먹었어?
학생2: 아침에는 빵 먹고, 점심에는 파스타 먹고, 저녁에는 고기 먹었어.
학생1: 여기서 뭐가 제일 맛있었어?
학생2: ...?
학생1의 발화에서 나온 '여기'는 가까운 곳을 나타내는 말로, 맥락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를 지시표현이라고 합니다.
3-3. 일관성
일관성이란, 모든 문장의 흐름이 얼마나 자연스러운지를 말합니다. 사람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얻고 싶어하며, 이에 따라 일정한 규칙과 흐름으로 말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학생1: 어제 여행 가서 뭐 먹었어?
학생2: 아침에는 빵 먹고, 저녁에는 고기 먹었고, 점심에는 파스타 먹었어.
이 대화의 학생2는 밥을 먹은 순서를 왔다갔다하며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간의 흐름과 맞지 않으며, 정보를 직관적으로 받아들이기 더 어려워집니다.
이처럼 대화에는 일관성이 필요합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addicion&logNo=90028720879
글의 구성원리~통일성, 일관성, 응집성의 개념
1. 통일성(coherence) 텍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들 간의 ‘의미적인’ 연결 관계를 말한다. 보통 응집성...
blog.naver.com
참고할만한 블로그입니다.
3-4. 사람을 화나게 하는 세 가지 방법
통일성, 응집성, 일관성의 원리에 따라 사람을 화나게 하는 방법은 세 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무시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대화의 흐름이 완전히 끊겨버리는 행위로, 대화가 진행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학생1: 어제 여행 가서 뭐 먹었어?
학생2: ...
학생1: ...?
두번째는 말을 하다 마는 것입니다. 이 또한 대화의 흐름이 완전히 끊겨버리는 행위로, 대화가 진행되다 마는 매우 큰 답답함을 가져옵니다.
학생1: 야, 대박 뉴스! 글쎄, 학생2랑 학생3이...
학생2: 둘이?
학생1: 아 미안 가봐야된다. 잘가!
학생2: ...?
위 사례에서 학생1은 중요해보이는 소식을 전달하겠다고 해놓고 전달하기 직전에 발화를 멈췄습니다. 이는 학생2의 기대감만 불러일으켜놓고 떠나버리는 행위에 속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2는 큰 답답함을 느끼고,
세번째는 같은 말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이는 인간의 정보 처리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행위로, 대화가 재반복되는 매우 답답한 행동입니다.
학생1: 어제 여행 가서 뭐 먹었어?
학생2: 아침에는 빵 먹고, 점심에는 파스타 먹고, 저녁에는 고기 먹었어. 아침에는 빵 먹고, 점심에는 파스타 먹고, 저녁에는 고기 먹었어.
학생1: ...?
위 사례에서 학생2는 같은 정보를 다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행위 또한 듣는이에게 답답함을 불러일으킵니다.
세번째는 같은 말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이는 인간의 정보 처리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행위로, 대화가 재반복되는 매우 답답한 행동입니다.
학생1: 어제 여행 가서 뭐 먹었어?
학생2: 아침에는 빵 먹고, 점심에는 파스타 먹고, 저녁에는 고기 먹었어. 아침에는 빵 먹고, 점심에는 파스타 먹고, 저녁에는 고기 먹었어.
학생1: ...?
위 사례에서 학생2는 같은 정보를 다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행위 또한 듣는이에게 답답함을 불러일으킵니다.
4.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의 원리 및 불확실 정보 금지 원리
위에서 말했듯 인간이 받아들일 수 있는 정보는 한계가 있습니다. 또한 정보가 들어온다 하더라도 그것을 받아들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인간은 '신뢰도'라는 척도를 바탕으로 정보와 정보원을 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다음 원리가 파생됩니다.
4-1. 확인되지 않은 정보는 말하지 않습니다.
학생1: 야, 대박 뉴스! 글쎄, 학생2랑 학생3이 사귄대!
학생2: 둘이? 진짜?
학생1: 아... 나도 들은 얘기라 자세히는 몰라.
학생2: ...?
이같은 행위는 학생1의 정보의 신뢰도뿐만 아니라 학생1 개인에 대한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확인되지 않은 정보는 말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더 극단적인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직원1: 내가 증권사에 친구가 하나 있는데, 걔가 그러는데 새롬기술 주식이 몇 배는 오를거래! 너도 투자해봐!
직원2: 진짜?
주식 찌라시는 대표적인 확인되지 않은 정보입니다. 만약 이 찌라시가 맞았다고 하면 직원1에 대한 직원2의 신뢰도는 높아지겠지만, 반대로 직원1의 말이 틀렸다면 직원2는 큰 경제적 손실을 입고 직원1에게 신뢰도 하락을 넘어 혐오와 원한을 품을 것입니다. (참고로 실제 새롬기술 주식은 닷컴버블 열풍을 타고 150배 가까이 상승했다가 닷컴버블이 깨지며 다시 원래 주가로 돌아왔습니다. )
이처럼 확인되지 않은 정보는 개인의 신뢰성에 영향을 주며, 더 나아가 상대방에게 손실을 입힐 수 있는 위험한 정보입니다.
4-2. 아는 척하지 않는다.
자신이 모르는 분야의 전문지식 또한 확인되지 않은 정보입니다. 자신이 모르는 분야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위로, 틀릴 가능성이 높고, 금방 밑천이 드러날 확률이 높습니다. 이 또한 개인의 신뢰성에 영향을 주며, 더 나아가 상대방에게 손실을 입힐 수 있는 위험한 정보입니다.
직원1: 단기 알바로 현금 배달 알바를 하면 20만원을 준다는데, 해도 되나?
직원2: 내가 대학교 교양 수업 때 법학을 들어서 아는데, 그런 거 하지 말라는 법은 없어. 해도 될 거야. 같이 하자.
그렇게 직원1과 직원2는 보이스피싱 조직의 현금수거책 역할을 한 혐의로 경찰에 체포되었습니다. 그리고 직원1은 직원2에게 강한 원한과 혐오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아는 척은 매우 위험한 행위입니다.
지금까지 대화 중 정보 처리 원리의 3, 4법칙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이어서 설명하도록 합니다.
'PICA 프로젝트(v1)(파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장) 대화 중 정보 처리의 원리 (4) (0) | 2023.08.21 |
---|---|
6장) 대화 중 정보 처리의 원리 (3) (0) | 2023.08.19 |
6장) 대화 중 정보 처리의 원리 (1) (0) | 2023.08.15 |
6장) 대화 중 정보 처리의 원리 (0) - 개요 (0) | 2023.08.13 |
5장) 대화를 이어가는 법 (0) | 2023.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