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슈뢰딩거 방정식
진동 운동에서의 슈뢰딩거 방정식은 퍼텐셜 에너지가 1/2 kx^2인 슈뢰딩거 방정식이 됩니다.
이 미분방정식은 에르미트 다항식을 쓸 수 있도록 꼴을 바꾸면 바로 해결됩니다.
에르미트 다항식은, 위 꼴을 만족하는 미분방정식의 해를 말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2E/ħw - 1 = 2n 이 됩니다.
그러면 해는 이렇게 나옵니다.
정규화를 하면 정규화 상수는 상당히 복잡하게 나옵니다.
∫(∞,-∞) HnHn'e^(-x^2) 는 n=/=n'일 때 0, n=n'일 때 √π × 2^n × n! 가 됩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해 정규화를 하면 됩니다.
그리고 2E/ħw - 1 = 2n 이므로
E = ħw(n+1/2) 가 성립합니다.
■ 진동 운동의 특징
여기서 양자역학에서의 진동 운동의 몇 가지 특징을 알 수 있습니다.
파동함수가 에르미트 다항식의 꼴로 나타내어지기 때문에
1. n이 0이나 짝수이면 우함수, 홀수이면 기함수가 됩니다.
2. node의 개수는 n입니다.
3. n이 클 때 turning point에서 |ψ|^2가 최대가 됩니다.
4. turning point에서 터널링이 일어납니다.
5. Hn'' - 2xHn' + 2nHn = 0, H(n+1) - 2xHn + 2nH(n-1) = 0 입니다. 이는 recursion relation(점화식)이라고 합니다.
또한 에너지의 성질에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1. ΔE = E(n+1) - E(n) = ħw = ħ√(k/m)
2. Zero point energy(영점 에너지)가 존재합니다. E(0) = 1/2 ħw 입니다.
3. E ∝ √k 입니다.
■ 생성/소멸 연산자
'과학과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자역학] 3. 슈뢰딩거 방정식 (4) - 3차원 회전 운동 (0) | 2024.06.13 |
---|---|
[양자역학] 3. 슈뢰딩거 방정식 (3) - 2차원 회전 운동 (2) | 2024.06.13 |
[고전역학] 뉴턴역학의 기초와 보존법칙의 증명 (2) | 2024.05.31 |
[양자역학] 3. 슈뢰딩거 방정식 (1) - 병진 운동 중 자유입자, 상자 속의 입자 문제 (4) | 2024.04.26 |
[양자역학] 2. 양자역학의 공리 (4) - 원자모형의 기본 (2) | 2024.04.25 |